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6

자바스크립트로 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11장) - 해시 테이블 해시테이블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면 자료를 쉽고 빠르게 저장할 수 있고, 키-값 쌍을 기반으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해시 테이블과 같은 방식으로 키와 해당 키의 연관된 값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해시테이블 주요 함수 put() 자료를 해시 테이블에 저장하는데 사용 get() 해시 테이블로부터 자료를 얻는데 사용 둘다 시간 복잡도 O(1) -> 인덱스가 해싱 함수에 의해 계산되는 배열과 유사하다. 이때 인덱스는 메모리에서 유일한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것 locaStorage 는 해시테이블에 기반한 자료구조의 예이다. 브라우저 내에 자료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세션 이후(페이지를 새로고침 등)에도 접근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싱 기법 해시 함수(해시 테이블에서 가장 중요) 특.. 2019. 11. 13.
자바스크립트로 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10장) - 검색과 정렬 검색 자료구조 내에 특정항목을 찾는일 선형 검색 ( 배열이 정렬되어있던, 안되어있던 상관 x) 배열의 각 항목을 한 인덱스씩 순차적으로 접근하면서 동작 function linearSearch(array, n) { for(let i = 0; i 1) { index = partition(items, left, right); if (left < index - 1) { quickSortHepler(items, left, index - 1); } if (index < right) { quickSortHepler(items, index, right); } } return items; } function partition(array, left, right) { let pivot = array[Math.floor((r.. 2019. 11. 13.
ZeroCho강좌 React/MobX 3-1 MobX도입하기 본 포스팅은 제로초님(조현영) 유튜브 강의를 바탕으로 자습을 위하여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import 와 require의 차이점! 기본은 require고 import는 문법을 편하게 바꿔준다. 두개는 default에서 다르다! mobX는 자유도가 너무 높아서, 구조하나를 정해서 협업을 하는것이 좋다. 어떤 제약이나 규약 등이 명확하게 있지가 않다. mobX는 주로 observable을 이용해서 사용한다. @ : 데코레이터 - 공식 문법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편리해서 사용을 하고 있음. const { observable, autorun, runInAction } = require("mobx"); const state = observable({ compA: "a", compB: 12, compC: nu.. 2019. 11. 12.
redux VS mobx (1~5강) context API에 편의기능을 더 붙인것이 redux이다. 컴포넌트 사이의 state들을 컨트롤하기 위해 redux , 만약 하나의 컴포넌트안에서 state가 필요하다면 굳이 redux안써도됨 state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관리한다. => state들을 안써도됨.(안 쓸 수 있다임, 안써야한다가아님) redux는 단방향이다! action을 만들어놓고 dispatch를 통해서 state들을 변경한다. dispatch할때마다 기록이 남는다. (누가 누구를 바꾸고 등등) -> 에러 찾기가 쉽다! -> 에러가 적게난다(redux의 장점) (타임머신 기능도 있음.) reducer 새로운객체를 만들어냄, store에 들어있는 데이터가 대체됨 ( 새로운 state를 만들어 주는 애 불변성을 조심해야함!) midd.. 2019.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