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패스트캠퍼스60

20190430 3) 연산자 표현식(expression)은 리터럴, 식별자(변수명, 함수명 등), 연산자, 함수 호출 등(이들을 토큰(Token)이라 한다)의 조합을 말한다. 표현식은 평가(evaluation. 표현식을 실행하여 하나의 값을 만드는 과정)되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즉,표현식은 하나의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이다.'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 console.log('1' + 2); // '12' console.log(1 + '2'); // '12' // 산술 연산자 console.log(1 + 2); // 3 // true는 1로 타입 변환된다. console.log(1 + true); // 2 // false는 0으로 타입 변환된다. c.. 2019. 4. 30.
20190430 2)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이란 값의 종류이다. -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알아야한다. - 값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 크기가 다르다. 데이터 타입이 필요한 이유? 값을 저장할 때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값을 참조할 때 한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값은 더 이상 평가할 수 없는 하나의 표현식이다. 10+20 //표현식 //30이라는 값이 생성 리터럴(literal)은 소스코드 안에서 직접 만들어 낸 고정된 값 자체 var sum = 100; 100은 소스코드 안에서 직접 만들어 낸 리터럴, 리터럴은 더 이상 평가할 수 없고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대상이.. 2019. 4. 30.
20190430 (1)변수 두 변수를 바꾸는 코드 작성 var x = 1; var y = 2; var t; //임시변수 t를 선언 t = x; //t에 x값을 할당 x = y; //x에 y값을 할당 y = t; //y에 x값을 할당 console.log(x,y) // 2,1 이 출력된다. 질문 리스트. 1) 메모리도 많이 사용할 수록 느려지나요? 예를들어서 같은 주소에 수만번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한뒤에 사용하면 퍼포먼스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2) 가비지 컬렉터에서 메모리에서 언제 해제 될지는 모르지만, 해제 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있는가? 2019. 4. 30.
[프론트엔드 개발 스쿨 9주차] Sass특강 및 컴퓨터공학 수업 오늘의 포스팅은 지지난주에 했었던 특강인 Sass특강과 8일간의 컴퓨터공학 수업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 한다. 포스팅 전에 노트북들을 다들 쓰다보니 나처럼 이렇게 키보드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정말 많다. 그리고 노트북 거치대를 쓰시는 분들도! 만약, 이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패스트캠퍼스에 다닐 생각이 있다면, 무선키보드, 마우스 , 노트북 거치대 등 주변기기들을 사는것을 추천한당.개발환경에 큰 도움을 주는것같다.ㅎㅎ (물론, 난 나중에 살생각...ㅎㅎ) 1. Sass특강 일단, 전반적인 Sass특강 설명에 앞서 패스트캠퍼스에서는 특강을 여러개 스케줄을 잡아놓았다. 앞서서 정적블로그(지킬)과 같은 특강이나 보강특강 개념의 특강도 있었다. 이번엔 CSS를 혁신적으로 쓰게 해주는 Sass특강을 배우게 되었다.. 2019.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