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36 [프론트엔드 개발 스쿨 12주차] 해커톤 설명 및 기획(1-1) 1. 해커톤의 목적과 일정 먼저 패스트캠퍼스에서 해커톤을 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이다. 1) *Git으로 협업하는 방법을 연습* - 초반에 배운 git수업을 통해서 기본적으로 자기 github에 add commit push하는 법을 알아보기도 하였고, 이후 첫번째 프로젝트에서 git branch사용법 및 pull request 사용법등을 익혔었다. 사실 2달정도가 지난 지금 git을 사용해서 각 종 과제들을 올리고는 있지만, branch를 사용하는 방법을 까먹었었기에 다시 찾아서 협업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요즘 회사들은 git을 다 쓰니까^^? 2) 지금까지 배운 내용/실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복습* + 기획을 추가하면서 *기획하는 연습* - 사실 지금까지 배운 내용이.. 2019. 5. 21. 2019-05-20 배열고차함수 , 정규표현식, 화살표함수 배열 고차 함수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객체이다. 함수를 인수로 전달할 수 도 있으며, 리턴 값으로 함수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함수형 프로그래밍가능 멀티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절차지향 객체지향 함수지향 다 가능하다. 고차함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언어로써의 개념이다. 함수는 정의와 동시에 상위스코프가 결정된다.(= 렉시컬스코프) 함수는 자신의 상위스코프를 언제나 들고다닌다(기억한다) function makeCounter(predicate) { // 자유 변수. num의 상태는 유지되어야 한다. let num = 0; // 클로저. num의 상태를 유지한다. return function () { // predicate는 자유 변수 num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num = predicate(num); re.. 2019. 5. 20. 2019-05-17 수업 내용정리(배열) 배열 배열은 0번부터이다. 배열의 마지막은 length -1 이다. 배열의 type은 Object이다. var arr = []; console.log(arr[0]); // undefined arr[1] = 1; arr[3] = 3; console.log(arr); // (4) [empty, 1, empty, 3] console.log(arr.lenth); // 4 배열은 기본적으로 연속적으로 값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하지만 , 문법적으로 체크해주지는 않음.) arr.length는 마지막요소를 기준으로 +1 var numbersArr = ['zero', 'one', 'two', 'three']; // 요소의 값만 삭제된다 delete numbersArr[2]; // (4) ["zero", "one", e.. 2019. 5. 17. 2019-05-17 this와 각종 예제들 Object.prototype.__proto__ 는 null이다. const parent = { a: 1}; // const child = {} const child = Object.create(parent); console.log(child); // {} console.log(child.a); // 1 정적메소드는 this를 쓰지 않는다. function getMaxValueFromArray(array){ // return Math.max.apply(null, array); // null자리에는 this가 오려고 보니까, Math는 정적이기때문에 this를 쓰지 않는다. return Math.max.apply(...array); } console.log(getMaxValueFromArray([3, 6,.. 2019. 5. 17.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4 다음 반응형